본문 바로가기 하위 메뉴 바로가기

KIOST

모바일메뉴열기

NEWS & ISSUE

해양과학기술의 글로벌 리더 KIOST 기관소개 및 뉴스 & 이슈를 안내해드립니다.

메인바로가기

RESEARCH

해양과학기술의 글로벌 리더 KIOST 연구를 안내해드립니다.

메인바로가기

EDUCATION

해양과학기술의 글로벌 리더 KIOST 교육을 안내해드립니다.

메인바로가기

50th anniversary

해양과학기술 50주년 홈페이지를 안내해드립니다.

메인바로가기

교육정보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갯벌이 탄소를 흡수 및 저장한다, 신규 블루카본의 등장

  • 조회 : 10423
  • 등록일 : 2023-02-06

갯벌이 탄소를 흡수 및 저장한다, 신규 블루카본의 등장

블루카본은 무엇인가   

연안 또는 연안 습지에 분포하는 식물과 퇴적물을 포함하는 생태계가 격리 및 저장하고 있는 탄소를 ‘블루카본(blue carbon)’이라고 한다. 여기서 연안은 강이나 호수, 바다를 따라 잇닿아 있는 육지를 말하며, 식물과 퇴적물에는 어패류, 잘피, 염생식물 등 바닷가에 서식하는 해양생물과 맹그로브숲, 염습지와 잘피림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모두 지속적으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사진: 해양 생태계 탄소 저장의 예(출처: 해양수산부)

사진: 해양 생태계 탄소 저장의 예(출처: 해양수산부)

블루카본은 2009년 유엔(UN) 보고서 <블루카본-건강한 해양의 탄소 포집 역할>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탄소 흡수 속도가 육상 생태계보다 최대 50배 이상 빠르고 수천 년 동안 탄소를 저장할 수 있어 지구온난화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른 현재 크게 주목받고 있다.

미등록된 섬은 지형도 및 해도에 잘못 표기되었거나, 미 표기되어 위치를 찾을 수 없거나, 소규모인 섬이 대부분이다. 이에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는 미등록 무인도서의 조사, 측량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2021년 몇 개의 섬을 대상으로 드론 지적측량을 실시하고 활용 매뉴얼을 마련했다. 이를 기반으로 올해 접근이 곤란했던 89개의 무인도서 중 약 10개에 대한 조사와 측량을 진행 중이다.

실제로 ¹정부 간 협의체(IPCC)는 2019년에 발표한 <해양 및 빙권 특별보고서>에서 블루카본을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1: 정부 간 협의체(IPCC)는 기후 변화가 인류의 경제 및 사회 활동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국제적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설립된 유엔 산하 기관이다.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카본과 갯벌의 중요성   

갯벌은 풍요의 상징이자, 다양한 생물이 살아 숨 쉬는 수산 자원의 보고이다. 그리고 최근 갯벌의 탄소 흡수 능력이 입증되어 새로운 블루카본으로 주목받고 있다.

사진: 순천만 갯벌(출처: 해양수산부)

사진: 순천만 갯벌(출처: 해양수산부)

²국내 갯벌은 약 1,300만 톤(t)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으며, 연간 최소 26만에서 최대 49만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연간 최대 자동차 20만 대가 내뿜는 양에 해당하며, 최대치 기준으로 30년 된 소나무 약 7,340만 그루가 한 해 동안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과 비슷한 것이다.

2: 2022년 서울대학교 김종성 교수 연구팀이 조사·분석 결과

대한민국의 갯벌   

우리나라 갯벌의 총 면적은 국토 대비 2.5%를 차지하며, 그 넓이가 무려 2,482km2에 달한다. 그런데 국내 갯벌이 유럽 북해의 바덴해(Waddenzee) 갯벌보다 생물 다양성이 우수하다는 사실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사진: 지역별 갯벌 블루카본 저장량 및 연간 흡수량(출처: 서울대학교. 「한국 전 연안 퇴적물 내 유기탄소 저장량 및 유기탄소 연간 침적률에 대한 최초의 국가 규모 평가」.)

사진: 지역별 갯벌 블루카본 저장량 및 연간 흡수량(출처: 서울대학교. 「한국 전 연안 퇴적물 내 유기탄소 저장량 및 유기탄소 연간 침적률에 대한 최초의 국가 규모 평가」.)

바덴해 갯벌에는 약 400여 종의 해양생물이 서식하지만 우리나라의 갯벌에는 약 1,000여 종의 해양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갯벌은 블루카본 저장량 및 연간 탄소흡수량 또한 매우 높다. ³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간 승용차 11만 대가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서울대학교. 「2021 한국 전 연안 퇴적물 내 유기탄소 저장량 및 유기탄소 연간 침적률에 대한 최초의 국가 규모 평가」 연구 결과
지역별 갯벌 블루카본 저장량 및 연간 흡수량 표-해역, 지역, 갯벌 면적(km2), 유기탄소 저장량(톤), 유기탄소 침적률(연간 톤) 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해역 지역 갯벌 면적(km²) 유기탄소 저장량(톤) 유기탄소 침적률(연간 톤)
서해 인천 742 4,923,784 34,425
경기도 178 1,243,775 9,048
충청남도 378 1,274,415 5,240
전라북도 12 20,211 100
전라남도 595 1,952,907 7,886
남해 전라남도 281 1,621,985 6,198
경상남도 265 1,939,344 7,979
부산 31 149,935 451
동해 강원도 2 4,361 14
경상북도 4 8,009 22
울산 2 3,424 21

표: 지역별 갯벌 블루카본 저장량 및 연간 흡수량(출처: 서울대학교. 「2021 한국 전 연안 퇴적물 내 유기탄소 저장량 및 유기탄소 연간 침적률에 대한 최초의 국가 규모 평가」)

갯벌이 탄소흡수원으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   

앞서 언급한 갯벌의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갯벌은 현행 정부 간 협의체(IPCC) 지침에서 해양 부문 탄소흡수원으로 인정하는 블루카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맹그로브와 염습지, 잘피림의 탄소흡수력에 관해서는 국제 사회의 연구 결과가 활발하고 의제화가 진행되어 2013년 IPCC의 연안 습지 보충 지침 개정 당시에 블루카본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반면에 비식생 갯벌은 2013년 지침 개정 당시에 탄소흡수력에 대한 과학적 증명과 연구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인정되지 못했다.

‘블루카본’이 되면 얻는 이익   

차후에 갯벌이 블루카본의 격리 및 저장 장소로 인정받게 되면 어떤 것이 달라질까? 우선, 정부의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탄소흡수원을 확보하게 된다. 또 비식생 갯벌의 탄소흡수력 연구 분야를 대한민국이 선점하여 향후 국제 사회의 블루카본 관련 논의나 갯벌의 공동 연구에서 주도권을 가질 수 있다.

사진: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 탄동리의 갯벌(출처: 해양수산부)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 탄동리의 갯벌(출처: 해양수산부)

블루카본으로 인정받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비식생 갯벌 등의 신규 해양 탄소흡수원이 국제 사회의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탄소의 장기간 격리 여부와 규모에 대한 정확한 평가, 탄소 흡수 프로세스의 신뢰성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는 꾸준히 국제학술지에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으며, 매년 블루카본 국제 포럼의 국내 개최를 지원하고 있다.

염습지 등의 갯벌 복원도 진행 중이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갯벌 식생 복원 사업은 갈대, 칠면초 등 염생식물 군락지를 갯벌 상부에 복원해 갯벌의 생태적 기능을 회복하는 데에 집중하고 있다.

⁴비식생 갯벌은1km2당 연간 약 198톤, 염습지는 약 334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염생식물 군락을 복원하게 되면 갯벌의 탄소 흡수력이 식생 복원 이전 대비 70% 정도 향상된다. 이와 같이 뛰어난 경제적 가치와 훌륭한 탄소흡수율을 자랑하는 아름다운 대한민국 갯벌이 블루카본으로 인정받는 그날이 오기를 기대해 본다.

4: 해양수산부. 「국내 블루카본 정보 시스템 구축 및 평가관리 기술 개발」 연구(2017~2021년)

출처: [보고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블루카본 최신 동향’ / [보도자료] 해양수산부. ‘갯벌의 블루카본 능력 과학적 입증’

목록

담당부서 :  
홍보문화실
연락처 :  
051-664-9071
최종수정일 :
2024-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