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위 메뉴 바로가기

KIOST

모바일메뉴열기

NEWS & ISSUE

해양과학기술의 글로벌 리더 KIOST 기관소개 및 뉴스 & 이슈를 안내해드립니다.

메인바로가기

RESEARCH

해양과학기술의 글로벌 리더 KIOST 연구를 안내해드립니다.

메인바로가기

EDUCATION

해양과학기술의 글로벌 리더 KIOST 교육을 안내해드립니다.

메인바로가기

50th anniversary

해양과학기술 50주년 홈페이지를 안내해드립니다.

메인바로가기

교육정보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갯벌 저서생물들의 지하미로 은신처, 서식굴

  • 조회 : 1972
  • 등록일 : 2021-08-02

갯벌 저서생물들의 지하미로 은신처, 서식굴

갯벌에 사는 게나 갯지렁이, 조개와 같은 생물은 포식자가 나타나거나 자연적으로 위협적인 상황에 놓이면 어디로 도망치고, 몸을 숨길까? 갯벌을 걷다 보면 이름도 알 수 없는 작은 게들이 열심히 개흙을 먹고 콩알 모양의 흙뭉치나 흙더미를 만들어내거나, 사람이 접근하기도 전에 재빨리 구멍으로 피신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처럼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들은 퇴적물 속에 구명(굴)을 파고 자신들만의 독특한 집을 지어 생활한다.

저서생물에게 산소를 공급하고
안전을 지켜주는 서식굴

서식굴이 가지는 몇 가지 의미 있는 점을 살펴보자. 첫 번째는 썰물이 되어도 굴속에 고인 물이 생물의 몸을 촉촉하게 해주고 산소를 공급해서 생존을 가능하게 한다. 두 번째는 포식자로부터 안전하게 자신을 지킬 수 있다. 세 번째는 굴속에서도 먹이활동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굴속으로 바닷물이 드나들면서 퇴적물 속의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엄청난 길이와 표면적으로
많은 바닷물 함유 가능

한 예로 시화호 갯벌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중 큰 서식굴을 가진 종으로 가재붙이와 흰이빨참갯지렁이가 있다. 가재붙이의 경우, 다 자란 성체도 몸길이가 10cm 보다 작다. 이 생물이 만든 굴은 여러 층의 빌딩 모양으로 생겼으며, 갯벌 표면으로부터 퇴적물 속으로 142cm 깊이까지 내려가고 길이가 총 840cm나 되었다. 갯벌 표면적 1㎡에 가재붙이가 만든 퇴적물 내 굴의 표면적은 최대 104㎡에 이르며, 수십 리터의 물을 담을 수 있다. 이는 갯벌이 엄청난 양의 바닷물을 지닐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그림 1. 가재붙이의 서식굴

    그림 1. 가재붙이의 서식굴

  • 그림 2. 쏙의 서식굴

    그림 2. 쏙의 서식굴

유기물의 분해를 돕고
바다의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자연의 선물

생물이 만든 서식굴은 산소를 퇴적물 깊숙한 곳까지 공급해 유기물이 분해될 수 있는 범위와 깊이를 넓혀준다. 과거엔 대부분 버려진 땅으로 인식되던 갯벌이 이제는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하수처리장과 같은 기능을 하는 자연의 선물로 평가받고 있다.

출처 : [시화호, 새살이 돋다], 2020, 지성사, 김경태, 이민형, 이재성 저

목록

담당부서 :  
홍보문화실
연락처 :  
051-664-9071
최종수정일 :
2024-01-31